최근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불교계와 가톨릭 간의 갈등을 촉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천진암, 주어사 등의 불교 사찰이 천주교의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의 역사가 소외되고 있다는 불만에서 기인한다.
불교와 가톨릭은 한국 역사에서 오랫동안 공존해왔으나,
이번 성지화 논란은 그간의 우호적 관계를 위협하고 있다.
종교적 공존과 상호 존중을 위해 성지화 사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천진암과 주어사의 성지화는 종교적 배경을 가진 두 장소가 어떻게
가톨릭 중심의 역사로 재구성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천진암은 본래 불교 사찰로, 조선 후기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을 숨겨주다 폐사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변모하면서 불교 사찰로서의 정체성을 잃었다.
주어사 역시 유사한 역사를 공유하며 천주교 순례자들이 찾는 성지가 되었다.
불교계는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지우는 행위로 받아들이고 있다.
천진암의 성지화 과정에서 불교적 의미를 무시하고 가톨릭적 상징물로 대체한 것은 종교적 갈등의 씨앗을 뿌린 것이다.
특히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을 조성하겠다는 협약은 불교계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불교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직접 축조에 참여했던 역사적 장소로,
불교적 의미가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주교는 이곳을 천주교 순례길로 개발하려 하며
남한산성의 불교적 유산을 지우고 있다.
이는 천주교가 불교의 역사적 공헌을 인정하지 않고 독점적으로 해석하려 한다는 인상을 준다.
더 큰 문제는 가톨릭 성지화 사업이 단순한 종교적 기념행사를 넘어서,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목표 하에
수백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천주교 성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례는 천진암 성지화에서도 나타나며,
천주교 성지화를 위한 대규모 개발에 막대한 세금이 사용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세금이 특정 종교의 이익에 치우친다는 데 있다.
이는 국가의 세금이 종교적 중립성을 침해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킨다.
세금이 투입된 성지화 사업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특정 종교의 신앙적 상징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
이로 인해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는 한편,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모든 국민의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사용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질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종교적 편향성을 띠는 행정 처리로 비칠 수 있다.
따라서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더 신중하고 공정하게 접근해야 한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고 기리는 것은 중요한 일이지만,
그것이 다른 종교의 유산을 침해하거나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한 장소일수록 역사적 공존의 가치를 존중하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함께 기억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